티스토리 뷰

안녕하십니까 주식 과일 증권입니다. 오늘은 모양별 캔들차트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모양별 캔들차트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기

모양별 캔들차트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기

장대양봉형, 장대음봉형

장대양봉형(적색) 패턴은 장 중 시가와 종가의 등락폭이 아주 크며 강하게 상승하면서 장 마감이 된 것이 특징이며, 그 몸통이 이전 봉의 크기보다 매우 길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상승장에서 나타난 장대양봉은 강한 매수세로 상승이 조금 더 지속된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다. 반면 장대음봉형(청색) 패턴은 장대양봉과 마찬가지로 장 중 등락폭이 아주 크며, 크게 하락하면서 마감하여 몸통이 이전 날들의 봉의 크기보다 매우 길다. 하락장세에서 나타난 장대음봉은 하락지 속형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승장 중 특히 급상승 후 장대음봉이 나타나면 이익실현 매물의 본격화로 해석되어 하락을 예고하는 경우가 많다.

 

상승 샅바형, 하락 샅바형

상승 샅바형 패턴은 시가가 장 중 최저가인 상태이다. 장 중에서 주가가 상승하면서 위 꼬리 양봉 형태를 띠는 패턴으로 하락 추세에서 이 패턴이 나타나면 기술적 반등이 예상되며, 몸통의 길이가 길수록 반등 가능성은 더 높아진다. 지속적인 하락 후 바닥권에서 이 패턴이 발생했다면 단기적으로 매수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지만 다음날 주가가 하락으로 종료한다면 추가 매도 세력이 아직 남아 있다는 의미로 하락이 좀 더 이어진다고 보면 된다. 하락 샅바형 패턴은 시가가 장 중 최고가인 상태이다. 장 중에 주가가 하락하면서 밑꼬리 음봉 형태를 가지는 패턴으로 상승추세에서 이 패턴이 나타나면 하락이 예상된다. 몸통의 길이가 길수록 하락의 가능성이 높아지며 거래량이 급증한다면 하락의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 긴 상승추세 도중 천장권에서 이 패턴이 발생했다면 매도를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다음날 종가가 전일 고점 위에서 형성된다면 상승추세가 좀 더 진행된다는 의미로 받아 들 일수 있다.

 

밑꼬리 양봉형,위꼬리음봉형

밑꼬리 양봉형 패턴은 윗꼬리 양봉형의 반대로 종가와 고가가 일치하고 윗꼬리가 없으며, 시가와 저가가 다르다. 밑꼬리는 몸통보다 매우 짧은 형태로 상승 장세를 반영하는 상승 지속형 패턴으로 작용한다. 윗꼬리 음봉형 패턴은 밑꼬리 음봉형과 반대로 종가와 저가가 일치하고 밑꼬리가 없으며, 시가와 고가가 다르다. 윗꼬리는 몸통보다 짧은 형태의 패턴으로 하락장세를 반영하는 하락지 속형 패턴으로 작용한다.

 

우산형

우산형 패턴은 몸통의 윗꼬리가 거의 없고 몸통에 비해 매우 긴 꼬리 형태를 가진 패턴으로 망치형과 교수형(hanging man) 패턴으로 구분된다. 교수형은 상승추세가 형성되어 향후 주가의 하락반전을 암시하며, 망치형은 하락 추세 도중에 형성되어 향후 주가의 상승반전을 암시한다. 이러한 망치형과 교수형을 패턴으로서 볼 수 있으려면 명확한 추세의 형성이 있는 상태에서 이와 같은 패턴이 만들어져야 한다. 특히 단기적인 급등 후 교수형이 나타났을 경우 거래량을 체크하는 것이 필수이며, 별다른 거래량 없이 교수형이 나왔다면 서둘러 매도할 필요는 없으나, 이전 평균 거래량의 2~3배 정도의 대량거래가 수반된 교수형은 바로 매도에 동참해야 한다. 또 최저 바닥권이라고 인식된 부분에서의 망치형은 다음날 음봉으로 하락 시 추가 하락이 올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역전된 망치형,유성형

역전된 망치형 패턴은 몸통의 밑꼬리가 거의 없고, 윗꼬리가 몸통에 비해 매우 긴 형태를 가진 패턴으로 일봉의 색깔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 다만 하락장세 도중에 이 패턴의 출현은 상승반전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이 패턴과 비슷한 유성형과 구분되는 점은 하락 추세에서는 상승반전 작용을, 상승추세에서는 하락반전 신호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유성형(shooting star) 패턴은 몸통의 밑꼬리가 거의 없고, 윗꼬리가 몸통에 비해 매우 긴 형태를 가진 패턴으로 역시 일봉의 색깔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 다만 상승 장세 도중에 이 패턴의 출현은 하락반전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특히 단기적인 급등 후 유성형이 나타났을 경우 거래량을 체크하는 것이 필수이다. 별다른 거래량 없이 유성형이 나왔다면 서둘러 매도할 필요는 없으나, 이전 평균 거래량의 2~3배 정도의 대량거래가 수반된 유성형은 바로 매도에 동참해야 한다.

 

십자형

장족 십자형 패턴은 몸통이 짧은 것에 비해 위, 아래 꼬리가 상대적으로 상당히 길며, 몸통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장 중 거래 범위 중간에 위치하는 형태를 가진 패턴이다. 상승과 하락이 불확실한 경우 즉, 매수세와 매도세의 균형이 팽팽한 시장 상황을 반영하는 패턴이다. 비석 십자형 패턴은 종가와 시가, 저가가 모두 일치하고 위꼬리가 긴 형태를 가진 패턴
으로, 시초가 이후 장 중에 상승세를 보이다가 종가가 장중 저가인 시가와 일치하거나 또는 근접해서 마감할 경우 생기는 패턴이다. 상승추세의 고점에서 발생했을 경우 하락 전환 가능성이 높으며, 윗꼬리가 길수록 신뢰성이 높고, 횡보 국면이나 하락 추세 이후 발생했다면 상승반전 신호로 작용하기도 한다. 특히 급락 중에 발생한 비석 십자형에서 대량거래가 발생하였다면 반등 가능성이 크다. 잠자리형 패턴은 십자형 형태 중의 하나로 시가와 종가 그리고 고가가 일치하는 경우에 형성되는 패턴이다. 일반적으로 주가 전환 시점에서 많이 발생하는 형태이다. 하락 추세의 막바지에 발생하면 상승반전형 패턴으로 작용하며, 상승 중에 있을 경우에는 계속 상승 작용을 하게 된다. 특히 점상 한가로 급등 중 나타난 첫 잠자리형 캔들은 주로 세력들의 물량 확보를 위한 흔들기 가능성이 있으나, 점상 한가로 추가 상승 후 나타나는 두 번째 잠자리형은 매도의 시작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 점 십자형 패턴은 시가, 고가, 저가, 종가의 가격이 모두 일치할 때 발생하는 십자형 패턴이다. 유동성이 매우 적고 종가 이외에는 어떤 시세도 성립되지 않는다. 상한가, 하한가로 거래가 형성된 경우나 거래가 일체 형성되지 않은 경우로 향후 주가 방향 예측이 어려운 패턴이다.

오늘도 성투하십시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