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십니까 주식 과일 증권입니다. 오늘은 차트분석과 손절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차트분석과 손절매에 대해 알아보기

차트분석과 손절매에 대해 알아보기

인지부조화에 대한 경계

 철학자 칼 포퍼는 우리가 옳다고 하는 만큼 우리는 항상 틀릴 수 있습니다. 언제 틀릴지는 모르겠습니다. 인생은 문제 해결의 연속입니다라고 보석 같은 이야기를 남겼습니다. 진리에 접근하는 방법은 잘못과 착오의 위험을 무릅쓰면서 추측과 반박이라는 시행착오를 거치는 것입니다. 이러한 비판적 합리주의는 인간의 이성이 완벽하지 못하고 실수를 저지를지도 모른다는 '이성의 한계'를 인정하는 데서 비롯됩니다. 내가 잘못했을 리가 없다는 독단적인 생각을 버리는 데서 출발하는 거죠. 기술적 분석을 과신하는 자는 종종 본인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으려 합니다. 레온 페스팅어는 인지부조화 현상을 연구한 뒤 인간은 합리적인 존재가 아니라 자신을 합리화하는 존재라고 결론지었다. 인간은 결코 이성적인 존재가 아닙니다. 오히려 자기가 틀렸음을 인정하려다가 더 큰 실수를 저지르는 어리석은 존재입니다. 따라서 주관적인 판단이나 신뢰에만 좌우되지 않도록 투자원칙을 정하고 이를 충실히 지켜나가야 합니다. 기술적 분석도 결국은 완벽하지 않고 확률의 문제이기 때문에 때로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는 냉정한 비관론자가 되어야 합니다. 분석한 것과 다른 방향으로 상황이 전개될 때를 대비한 투자 원칙은 명확하고 단순할수록 좋은 것입니다. 그래야 자기합리화가 들어갈 여지가 없어집니다. 예를 들어 투자를 시작하기 전에 기대수익률과 함께 감수해야 할 손실허용선을 미리 정하는 것입니다. 투자금액에 대해 15% 이상 손실이 나면 무조건 매도합니다는 식의 단순하고도 강력한 원칙을 설정하겠다는 겁니다. 그래야 위험불감증으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대표적인 기술적 분석 지표를 학습하면서 함께 손절매에 대해서도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경향 분석

 저항선과 지지선입니다. 주가는 특정 범위 내에서 주가 운동을 결정짓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지지란, 어느 기간의 주가의 하락 추세에 브레이크를 걸기에 충분한 매입과 매입을 하려는 세력을 말하며, 이러한 현상을 선에 연결시키고 있는 것을 지지선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저항은 어느 일정 기간 매수세력에 대한 매도세력으로, 이와 같이 상승저항을 받고 있는 고점을 선으로 연결한 것이 저항선입니다. 저항선과 지지선의 돌파입니다.


1) 지지선

주가 상승 후 매도가 증가한 후 지지수준을 하향 돌파하는 것으로, 매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매수가 감소하여 지지선이 무너지고 주가가 저항선에서 상향경직성을 보이면서 거래가 급감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지지선을 하향 돌파하는 A점을 적극적인 매도 시점으로 삼아야 합니다.
2) 저항선

 주가가 하락하면 지지선을 중심으로 일정한 수요가 발생하여 주가의 하방경직성을 보인 후 저항선을 상향 돌파하는 경우입니다. 매입 세력의 증가로 저항선 돌파가 나타납니다. 따라서 주가가 저항선을 돌파하는 B점을 매수시점으로 삼아야 합니다. 특히 강한 매수세가 거래량을 동반하며 강력한 저항선을 돌파할 때는 적극적인 매수 시기가 됩니다.

오늘은 차트 분석과 손절매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